서버

goddmk's DEV
[Windows Server] 윈도우 서버(2016)에 Open ssh 설치하기
·DevOps/OS
Jenkins로 CI/CD를 구축하여 윈도우 서버에 자동으로 배포를 할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자동으로 배포하기 위해서는 ssh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SSH란?ssh는 원격지에 연결하여 명령을 실행하고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보통 원격을 위해 텔넷을 사용하는데 이는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안에 취약하다. 그래서 ssh를 주로 사용하여 파일을 주고받는다. 그럼 본격적으로 ssh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보겠다.현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서버의 OS는 윈도우 서버 2016이다. 빌드가 완료된 파일을 해당 서버에 ssh를 통해서 전달하기 위해서는 Open ssh라는 녀석을 설치해줘야 한다. 윈도우10 이상 (윈도우 서버 2019 이상) 에서는 open ssh 구성 ..
Zabbix 설정 마무리하기 [Zabbix 구축기 - 3]
·DevOps/Zabbix
저번시간에 이어 자빅스를 구축하고 웹에서 마무리 설정을 해보려고 한다. zabbix 구축과 관련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Ubuntu에 MariaDB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1] Ubuntu에 MariaDB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1]네트워크, 서버, 홈페이지 등등... 여러 개를 한꺼번에 모니터링할 일이 생겼다. 그런데 그런 것을 이용하는 툴들은 거의 다 상용이라 돈이 든다... 그래서 좀 더 검색해 보니 Zabbix라는 모니터링goddmk.tistory.com Ubuntu에 Zabbix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2] Ubuntu에 Zabbix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2]지난번에는 우분투에 MariaDB를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해 보았다. ..
Ubuntu에 Zabbix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2]
·DevOps/Zabbix
지난번에는 우분투에 MariaDB를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해 보았다. 이제 본격적으로 Zabbix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작성해 보겠다. 먼저 Zabbix를 설치하기 위해 공식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사이트에 들어가 보았다.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Zabbix 버전과 그에 맞는 OS, DB 등 선택하면 어떻게 설치하는지 자세하게 나와 있다. 그걸 기반으로 구축해 보겠다. 진행하기 앞서 DB를 아직 설정하지 않았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자Ubuntu에 MariaDB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1] Ubuntu에 MariaDB 설치하기 [Zabbix 구축기 - 1]네트워크, 서버, 홈페이지 등등... 여러 개를 한꺼번에 모니터링할 일이 생겼다. 그런데 그런 것을 이용하는 툴들은 거의 다 상..
goddmk
'서버' 태그의 글 목록